보도자료
2025년 2월 24일  | Seoul, KR

국내 기업 경영진 82% AI 투자 늘릴 계획 있으나 AI 인재 부족과 ROI 불확실성은 넘어야 할 산

  • ŸŸ91% AI 이미 도입했거나 도입할 계획, 기업 규모 클수록 AI 도입 활발
  • AI 도입의 기대효과는 운영 효율화, 데이터 정확도 향상, 제품 및 서비스 혁신

2025년 2월 24일, 서울 – 최근 글로벌 회계·컨설팅 법인 EY한영(대표이사 박용근)이 국내 기업 경영진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설문조사 결과, 국내 기업들의 인공지능(AI) 도입 및 투자 의지는 높아지고 있으나, 전문 인력 부족과 투자 효과에 대한 불확실성이 주요 걸림돌로 작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번 조사에 따르면, 응답자의 과반인 52%가 기업 내 전사적 또는 일부 영역에서 AI를 도입해 활용 중이라고 답했다. 이는 전년 대비 14%p 증가한 수치다. 또한, 39%는 아직 AI를 도입하지는 않았으나 향후 도입 계획이 있다고 응답했다. 반면 도입 계획이 없다고 답한 비율은 9%에 불과했다.

특히 기업 규모가 클수록 AI 도입이 활발한 것으로 분석됐다. 자산규모 2조원 이상 기업 소속 응답자의 73%가 AI를 도입한 반면, 자산규모 5천억원 미만 기업은 30%에 그쳐 기업 규모에 따른 AI 접근성과 도입의 격차가 확인됐다.

대다수 기업 경영진들은 AI 투자에 적극적인 태도를 보였다. 전체 응답자의 82%가 향후 2년간 AI 투자를 늘릴 계획이라고 밝혔으며, 10%는 현재 투자 수준을 유지하겠다고 답했다. 투자 확대 계획이 없다는 응답률은 8%에 그쳤다.

자산규모 2조원 이상 기업 소속 응답자는 87%가 AI 투자 필요성에 공감했으며, 투자 계획이 없다는 응답은 5%에 불과했다. 반면 자산규모 5천억원 미만 기업 중 13%는 AI 투자 확대 계획이 없다고 답해, 규모가 작은 기업들이 상대적으로 AI 투자에 신중한 경향을 보였다.

AI 도입을 통한 기대효과로는 ▲자동화 등 운영 효율화(68%) ▲데이터 분석 및 예측 정확도 향상(64%) ▲제품 또는 서비스 혁신(48%) 등이 꼽혔다. 이는 AI가 운영 효율 및 의사결정의 정확도를 높이는 혁신 도구로 인식되고 있음을 나타냈다.

그러나 AI 도입 과정에서 내부 전문 인력 부족(60%)과 투자 대비 효과에 대한 불확실성(57%)이 가장 큰 걸림돌로 지적돼 AI 인재 양성과 명확한 투자 수익(ROI) 확보가 시급한 과제로 떠올랐다. 이 외에도 ▲높은 초기 비용(34%) ▲사이버 보안(25%) ▲규제 및 법적 리스크(24%) ▲데이터 품질 및 활용의 한계(21%) ▲추진 조직 및 체계 부재(20%) ▲윤리적 문제(6%)가 그 뒤를 이었다.

김정욱 EY컨설팅 대표는 “많은 기업이 AI를 도입했거나 도입을 고려하고 있고 있는 가운데 AI를 통해 운영 효율화와 비즈니스 의사결정 지원 등 비즈니스 가치를 증가시킬 실질적인 방안을 모색하고 있다”며 “AI 투자가 기대한 성과와 수익화(Monetization)로 이어지기 위해서 기업들은 조직 내 모든 이해관계자가 공감할 수 있는 명확한 도입 목적을 설정하고 급변하는 기술 시장에서 대응할 수 있는 AI 전략을 수립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설문조사는 EY한영이 ‘2025 EY한영 신년 경제전망 세미나’에 참석한 국내 기업 경영진 대상으로 AI 인식, 도입 현황 및 전략을 확인한 결과다. 설문조사에는 총 311명이 응답했다. 응답자 소속 기업 구성은 자산 규모 2조원 이상 기업이 39%, 자산 규모 5000억원 이상 2조원 미만 기업이 20%, 5000억원 미만 기업이 41%를 차지했다.


표. EY한영 설문조사 결과

#       #       #

EY는…

EY는 ‘보다 더 나은 세상을 만들겠다’는 철학을 토대로, 고객사와 우리 사회를 위한 장기적 가치를 창출하고, 자본시장의 신뢰를 제고하기 위해 존재합니다.

데이터와 기술의 힘을 기반으로 전 세계 150개 국가에서 활약하고 있는 EY의 팀들은 회계감사를 통해 시장의 신뢰를 제고하고, 고객사의 성장과 혁신, 그리고 운영을 지원합니다. 

회계감사, 컨설팅, 법률, 전략, 세무, 재무자문 분야를 아우르는 EY는 더욱 획기적인 질문으로 시작해 우리 앞에 놓인 복잡한 이슈들에 대한 새로운 답을 찾아냅니다. 

EY는 언스트앤영 글로벌 유한회사(Ernst & Young Global Limited)의 회원사 중 하나 이상의 글로벌 조직 또는 회원사 법인을 지칭하며, 각 회원사는 서로 독립적인 법인입니다. 언스트앤영글로벌유한회사는 영국의 보증책임 유한회사로 고객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EY가 개인 데이터를 수집하고 사용하는 방법에 대한 정보와, 데이터 보호법에 따라 개인이 갖는 권리에 대한 설명은 ey.com/privacy를 통해 확인할 수 있습니다. 법률사무소 외 회사의 법률 자문이 금지된 국가에서는 EY 회원사가 법률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지 않습니다. EY에 대한 더 자세한 내용은 홈페이지(ey.com)에서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보도자료는 EY한영이 배포했습니다. 

EY한영 언론홍보 담당pr@kr.ey.com

Related news

미국 우선주의 강화 속 국내 기업들 “보복관세로 인한 가격 경쟁력 약화 우려”

2025년 3월 14일, 서울 – 미국 트럼프 2.0 행정부 출범 이후 미국 우선주의 기조 속 관세·조세 정책과 통상·무역 규제가 한층 강화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국내 기업들은 보복관세로 인한 가격 경쟁력 상실을 가장 우려하고 있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2025년 3월 14일

국내 기업 경영진 91%, 올해 국내 경제 ‘부정적’ 전망… 경제 불확실성 속 핵심 사업 강화, 기술적 우위 확보, 운영 효율화 모색

2025년 2월 17일, 서울 – 대다수의 국내 기업 경영진들은 2025년 국내 경제를 부정적으로 전망했으며, 기업 실적 성장에 대한 기대감 또한 지속적으로 하락하는 추세를 보였다.

2025년 2월 17일

EY한영 글로벌통상자문팀 출범… 급변하는 미국 관세·통상 정책 대응 지원

2025년 2월 10일, 서울 – 글로벌 회계·컨설팅 법인 EY한영(대표이사 박용근)은 10일 글로벌통상자문팀(Global Trade Advisory Team)의 공식 출범을 발표했다. 미국 트럼프 2기 행정부 출범 영향으로 급변하는 국제 통상 환경에서 한국 기업들이 관세 부담은 최소화하고, 효율적인 공급망을 구축할 수 있도록 미국 현지 전문가들과 협업해 보다 현지화된 통상 자문을 제공한다는 방침이다.

2025년 2월 10일

글로벌 최저한세 전면 시행에 국내 기업들 대응책 마련에 고심

2024년 3월 14일, 서울 – 급속도로 글로벌화, 디지털화되는 기업환경 속에서 과세권의 기본 단위인 국가 및 국경선의 의미가 무너지고 있는 가운데 올해부터 글로벌 최저한세 등 국제조세 제도에 직접적인 영향을 받는 국내 기업들이 실무 차원의 대응을 모색하고 있다.

2024년 3월 14일

국내 기업들 “올해 개정세법 경제활력 제고에 힘 실렸다”

2024년 3월 5일, 서울 – 국내 기업 세무 및 회계 관계자들은 올해 정부의 개정세법에 대해 대체로 긍정적으로 평가하고 있었으며, 정책 기조의 무게가 ‘경제활력 제고’에 실려 있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24년 3월 05일

‘글로벌 최저한세’ 걱정하는 기업들, 막상 대응 방안은 막막

2022년 3월 29일, 서울 - 다국적 기업이 전세계 어느 관할지역에서 소득이 발생하든 일정 세율 만큼의 조세를 부담하도록 함으로써 조세 회피를 막고 각국 정부의 법인세율 인하 경쟁을 막는, 이른바 글로벌 최저한세의 도입을 앞두고 우리나라의 다국적 기업들도 대비에 나서고 있다.

2022년 3월 29일
    You are visiting EY kr (ko)
    kr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