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편, 지속가능성 정보 공시가 2026년 이후 단계적으로 도입될 것으로 예상되는 가운데, 지속가능성 정보의 공시와 인증 의무화에 44%만이 현재 충분한 준비가 되어 있다고 답했다. 특히 자산규모 2조원 이상의 기업에서는 51%가 준비가 되어 있다고 답했으나, 자산규모 2조원 미만의 기업에서는 18%에 불과해 기업 규모별로 차이가 있었다.
또한, 기업에서 이사회나 지속가능성위원회 등의 지배기구가 지속가능성 정보에 대한 산출 프로세스 및 통제 구축과 운영을 요구하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66%에 달했다.
지속가능성 정보의 공시와 인증에 준비가 미흡하다고 답한 응답자(66%) 중에서는 55%가 지속가능성 보고를 위한 전문조직의 부재와 전문가 부족을 원인으로 바라봤다. 이 외에도 ▲지속가능성 보고 정보 산출, 관리 및 평가에 대한 프로세스 및 시스템 부재(49%)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각종 법규 및 기준에 대한 영향 분석 부족(35%) ▲지속가능성 관련 정보가 조직내에 산재되어 있어 관리가 어려움(23%) 등이 준비 미흡의 주요 원인으로 꼽혔다.
지속가능성 보고 관련 정보의 산출, 관리 및 평가를 위해 통합관리시스템 구축이 필요하다고 밝힌 응답자는 91%에 달했다.
오창택 EY한영 감사부문 재무·회계관리자문서비스 본부장은 “IFRS 18과 지속가능성 정보 공시는 단순히 공시 기준의 변화에서 나아가, 투자자들을 포함한 시장 이해관계자들에게 비교 가능한 재무정보와 지속가능성이라는 비재무정보를 제공하는 중요한 전환점이다. 기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사안이기 때문에, 이사회, 최고재무책임자(CFO)와 재무 조직이 주도적으로 관리해야 할 핵심 아젠다”라며, “이에 효과적으로 대응하기 위해선 장기적인 관점에서 공시 인프라를 강화하고, 정보 관리를 위한 정책, 프로세스, 통제 시스템을 체계적으로 구축해야 한다. 이는 단기간 내 갖출 수 없기에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한 기업 가치 제고에 중점을 두어 장기적인 준비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한편, 이번 설문조사에 참여한 기업들은 자산 규모 2조 원 이상 기업이 52%, 자산 규모 2조 원 미만 기업이 48%였다. 응답자 소속 부서는 감사실 29%, 회계·세무·재무 관련 부서 60%, 기타 11%였다. 응답자는 모두 167명이었다.